Hello, Dino
POST & GET 본문
Client가 Server로 요청을 보내는 방법인 HTTP Method에는 GET방식과 POST방식이 있다.
GET 방식
GET 방식은 URL을 통해 간단한 데이터를 Server에 보낼 수 있도록 설계된 방식이다.
1. GET 방식은 URL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기 때문에, 보내는 양이 한정되어 있다.
초과된 데이터는 절단되어 전달된다.
2. 보낼 수 있는 양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바이너리 파일의 데이터는
전송이 어렵다.
3. URL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기 때문에 POST방식과는 다르게 Body는 공백으로 전달된다.
그럼, GET 방식은 어떤 경우 사용 될까?
GET방식은 자료 검색, 상세 정보 조회와 같은 단순 데이터 조회를 위한 데이터 전달에 사용하기 좋다.
또는 단문 메세지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때에도 사용하기 좋다.
POST 방식
POST 방식은 URL이 아닌 BODY에 데이터를 포함하여 Server에 보낼 수 있도록 설계된 방식이다.
1. POST 방식은 BODY에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보내는 양이 한정되어 있지 않다.
2. 보낼 수 있는 양이 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바이너리 파일 전송이 가능하다.
3. BODY에 어떤 타입의 데이터를 전송하는지 명시('Content-Type') 해줘야 한다.
4.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받는 시간 (Time out)이 존재하므로 요청 후 대기 시간이 존재한다.
GET 방식과 POST 방식 한눈에 보기 👀
GET 방식 | POST 방식 | |
데이터 전송 형태 | URL에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 | Body에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 |
길이 제한 | O | X |
바이너리 파일 전송 | 불가능 | 가능 |
보안 |
URL에 모든 데이터 노출 => 보안 X |
BODY에 데이터 숨김 => 보안 O |
Reference
https://doublesprogramming.tistory.com/20?category=681310
GET & POST 요청
GET 요청 GET 요청의 특징 1. URL에 데이터를 포함 -> 데이터 조회에 적합 2. 바이너리 및 대용량 데이터 전송불가 3. 요청라인과 헤드필드의 최대크기 HTTP사양에는 제한사항 없음 대용량 URL로 인한 문제 발생 -..
doublesprogramming.tistory.com
https://mangkyu.tistory.com/17?category=761303
[Web] GET과 POST의 비교 및 차이
사용자가 어떤 홈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해서 URL을 브라우저 주소창에 작성하고 엔터를 누르면 원하는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사용자는 단순히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입력하였을 뿐이지만 서버 내부에서..
mangkyu.tistory.com
'Web > 궁금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 Server와 WAS(Web Application Server) (0) | 2020.01.15 |
---|---|
Servlet (0) | 2019.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