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Hello, Dino

JSP 개발 환경 설정 본문

Web/JSP

JSP 개발 환경 설정

초보디노 2020. 1. 7. 23:23

모든 개발의 시작인 개발 환경을 먼저 설정해보겠습니다.

JDK와 이클립스가 설치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웹 컨테이너(Tomcat)를 설치하겠습니다.

* 만약 JDK와 이클립스 설치가 되어 있지 않다면 https://di-no.tistory.com/1 글을 참고하여 설치하시면 됩니다.

 

 

 

첫 번째로 Tomcat 사이트(http://tomcat.apache.org/)에 접속하여 Tomcat을 다운로드 받은 후 파일의 압축을 풀어줍니다.

 

 

 

다음으로는 설치한 Tomcat을 가지고 이클립스에서 환경을 설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클립스 실행 후 Server 탭에 있는 'No servers are availalbe. Click ~'를 선택합니다.

서버 생성화면에서 설치한 Tomcat 버전을 선택 후 'Next'버튼을 눌러 다음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압축을 푼 Tomcat 폴더의 경로를 지정해준 후 'Finish'버튼을 누르면 서버 생성은 끝입니다. 

 

 

 

추가적으로 웹 컨테이너 설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버 탭에 추가된 서버를 더블클릭하여 웹 컨테이너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화면을 띄웁니다.

체크되어 있는 부분을 이미지와 동일하게 변경합니다.

*보충 설명*

Use Tomcat installation (takes control of Tomcat installation)

: Tomcat이 설치되어 있는 곳으로 Path를 지정합니다.

Publish module contexts to separate XML files

: 이클립스에서 서버에 대한 XML을 수정하는 경우 실제 서버와 동기화 작업을 진행합니다.

 

 

서버 설정을 저장 후 동기화 버튼을 클릭하여 변경된 서버 설정 값에 대한 실제 서버와 동기화 작업을 진행합니다.

 

 

 

 

 

서버 설치와 설정은 모두 끝이 났습니다. 👏👏👏

 

 

 

 

이제 마지막으로 서버가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고 있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버 실행 후 웹브라우저를 열어 주소창에 'localhost:8090'를 입력하여 접속하였을 때

Tomcat 화면이 뜬다면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쉽지만 막상 할 때는 생각나지 않는 환경 설정 방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

 

'Web >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ge 이동 방식 (Forward / Redirect)  (0) 2020.03.10
한글 처리 (encoding)  (0) 2020.03.10
Cookie / Session  (0) 2020.03.09
Servlet 생성부터 Servlet Mapping까지 🏃‍♀️  (0) 2020.01.10